












작 가 |
강민기 |
 |
작 품 명 |
love is all |
작품 사이즈 |
270 × 280 × 120 |
제작년도 |
2018 |
작품 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3차원 공간에 붓터치 유닛을 쌓아 입체적 회화를 만들며, 이를 통해 인간관계와 내면의 변화를 탐구한다. |
작가 |
박민섭 |
 |
작 품 명 |
버티기 |
작품사이즈 |
340 × 150 × 120 |
제작년도 |
2024 |
작품재료 |
브론즈 |
작품 설명 |
작품 ‘버티기’는 힘겨운 현실 속에서도 당당하게 버티며 살아가는 아버지의 모습을 황소 형상으로 표현했다. |
작가 |
권치규 |
 |
작 품 명 |
이수목 |
작품사이즈 |
160 × 170 × 400 |
제작년도 |
2021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채색 |
작품 설명 |
‘회복탄력성’은 작가의 작업을 대변하는 개념이며, 변형 후 원래로 돌아가는 힘을 뜻하고 삶의 의지와 생성의 원리를 담고 있다. |
작가 |
김우진 |
 |
작 품 명 |
Deer |
작품사이즈 |
60 × 150 × 230 |
제작년도 |
2019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우레탄도색 |
작품 설명 |
다양한 색을 입힌 형상에 색의 상징적 의미를 더해 단순한 동물이 아닌 새로운 존재를 창조하고 꿈과 열정을 표현했다. |
작가 |
남지형 |
 |
작 품 명 |
Dancing petals |
작품사이즈 |
160 × 180 × 320 |
제작년도 |
2021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분체도장 |
작품 설명 |
떨어지는 꽃잎의 순간을 작가만의 시선으로 재해석, 꽃잎이 축적되는 모습을 통해 지나온 삶과 다가올 삶을 연결한다. |
작가 |
조영철 |
 |
작 품 명 |
Meditation |
작품사이즈 |
130 × 270 × 300 |
제작년도 |
2019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다양한 가치관이 이상적으로 만나는 순간을 상상하며 네팔에서 배운 인사법 ‘나마스테’에서 영감을 받아 조각 작업을 전개해 나간다. |
작가 |
심정수 |
 |
작 품 명 |
창공을 날으는 큰새 |
작품사이즈 |
360 × 100 × 350 |
제작년도 |
2017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자연주의적 구상과 기하학적 추상을 오가며 끊임없는 변화를 추구하는 작가로 한곳에 머물지 않고 새로운 조형 언어를 실험한다. |
작가 |
조덕래 |
 |
작 품 명 |
Enclose-Human |
작품사이즈 |
100 × 120 × 230 |
제작년도 |
2013 |
작품재료 |
stainless steel, stone |
작품 설명 |
돌은 대지에서 떨어져 나와 형성된 자연의 조형물로 자연에 대한 동경과 삶의 의지 그리고 희망을 담았다. |
작가 |
프란시스코 판세리 |
 |
작 품 명 |
The Three Elements |
작품사이즈 |
200 × 200 × 320 |
제작년도 |
2013 |
작품재료 |
스틸 |
작품 설명 |
원은 과거 현재 미래의 순환을 상징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성장하는 과정과 하늘의 의미를 담고 있다. |
작가 |
이철희 |
 |
작 품 명 |
Discobolus |
작품사이즈 |
150 × 130 × 250 |
제작년도 |
2024 |
작품재료 |
알루미늄파이프 |
작품 설명 |
고대 그리스 조각을 작가 고유의 파이프 기법으로 재해석하여 현대적 감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
작가 |
이정주 |
 |
작 품 명 |
교감 |
작품사이즈 |
좌대150 |
제작년도 |
2016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아슬아슬한 블록들의 반복적 움직임이 관람자의 상상력을 자극하며 시각적 긴장감과 조형적 다양성을 극명하게 드러낸다. |
작가 |
전백진 |
 |
작 품 명 |
Heart to heart |
작품사이즈 |
210 × 135 × 260 |
제작년도 |
2019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파이프 |
작품 설명 |
마음과 마음이 만나 한마음을 이루는 상징성을 담았다. 금속 파이프의 곡선으로 하트 형상을 만들어 사랑의 감정을 표현했다. |
작가 |
류종윤 |
 |
작 품 명 |
LOVE_Whale |
작품사이즈 |
150 × 220 × 260 |
제작년도 |
2023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우레탄도색 |
작품 설명 |
뚜렷한 기억과 희미한 기억이 공존, 작업과 작품을 통해 끊임없이 자아를 탐구하며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 존재를 찾아간다. |
작가 |
조정 |
 |
작 품 명 |
낙타의 꿈 |
작품사이즈 |
180 × 70 × 200 |
제작년도 |
2020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스틸, 황등석 |
작품 설명 |
낙타의 인내와 끈기를 통해 역경을 극복하는 모습을 형상화하며 어려운 여정을 이겨내 꿈과 희망을 이루는 순간을 조각으로 표현했다. |
작가 |
전강옥 |
 |
작 품 명 |
날아오르는 풍선 |
작품사이즈 |
180 × 120 × 300 |
제작년도 |
2023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하늘로 떠오르는 풍선을 통해 인간적 한계를 초월하는 수직적 꿈과 희망을 표현한다. |
작가 |
조용익 |
 |
작 품 명 |
diffusor of nature 2 |
작품사이즈 |
280 × 80 × 260 |
제작년도 |
2018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멸종은 환경에 적응하지 못한 존재의 도태를 의미, 강한 동물도 멸종하며 생존 경쟁은 인간 사회와도 맞닿아 있다. |
작가 |
허진욱 |
 |
작 품 명 |
Person |
작품사이즈 |
80 × 60 × 250 |
제작년도 |
2017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꽃, 사람, 나비, 별과 가구 개념이 결합된 형상의 작품을 만들며 스테인리스 스틸판에서 창작의 원동력을 얻고 이를 조형적으로 확장한다. |
작가 |
이종서 |
 |
작 품 명 |
함께하는 시선 |
작품사이즈 |
100 × 100 × 320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소통과 바라봄은 형상과 소리가 온전하지 않아도 존재를 인식할 수 있으며, 작품 ‘함께하는 시선’은 이를 단순한 조형으로 표현했다. |
작가 |
조권익 |
 |
작 품 명 |
연인2023 |
작품사이즈 |
100 × 100 × 300 |
제작년도 |
2023 |
작품재료 |
스틸 |
작품 설명 |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잠시도 사랑 없이 견딜 수 없는 감정을 표현하며 한발 물러서 바라보는 시선을 담았다. |
작가 |
허경준 |
 |
작 품 명 |
길 |
작품사이즈 |
234 × 55 × 210 |
제작년도 |
2021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우레탄 도장 |
작품 설명 |
우리는 삶에서 반복적인 선택의 기로에 서며, 어느 길을 택해도 지향점에 도달하고 있음을 작품을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
작 가 |
박재석 |
 |
작 품 명 |
사랑의 정령 |
작품 사이즈 |
170 × 45 × 230 |
제작년도 |
2018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채색 |
작품 설명 |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오는 상황을 만화적 표현과 단순한 면을 활용해 쉽게 받아들이도록 하여 거부감 없이 전달하려 한다. |
작가 |
남지형 |
 |
작 품 명 |
축적된 꽃잎 |
작품사이즈 |
100 × 150 × 50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우레탄 페인트 |
작품 설명 |
떨어지는 꽃잎의 순간을 포착해 유닛을 재해석, 축적되는 꽃잎을 인간의 삶과 동일시하며 우리의 지나간 삶이 행복하길 바란다. |
작가 |
테즈킴 |
 |
작 품 명 |
집에가는 길 |
작품사이즈 |
100 × 100 × 240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알루미늄 |
작품 설명 |
작품 ‘Way home’은 집으로 돌아가는 소년을 통해 유년기의 기억을 탐구하는 자전적 조각으로 모든 항해의 끝은 귀항임을 시사한다 |
작가 |
최혜광 |
 |
작 품 명 |
하늘바라기 |
작품사이즈 |
120 × 120 × 190 |
제작년도 |
2019 |
작품재료 |
스텐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즐겁고 아름다웠던 기억의 발자취를 따라, 초등학생 시절 처음 서울에 와 모든 것이 낯설고 신기했던 순간을 작품에 담았다. |
작가 |
이명훈 |
 |
작 품 명 |
맑은날×1440rpm |
작품사이즈 |
180 × 180 × 275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페인트 |
작품 설명 |
작가 자신을 투영한 캐릭터를 통해 스스로를 관찰하고 대변하며, 블랙코미디를 바탕으로 하지만 희망을 찾는 낙관적 시선을 담고 있다. |
작가 |
송효근 |
 |
작 품 명 |
곰돌이 |
작품사이즈 |
120 × 180 × 120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우레탄 도색 |
작품 설명 |
곰 인형을 모티브로 한 스테인리스 스틸 조각, 손으로 만든 봉제인형 형태를 구현하며 ‘드러내지 않기’의 개념을 표현했다. |
작가 |
전신덕 |
 |
작 품 명 |
캥거루 여행 |
작품사이즈 |
360 × 130 × 270 |
제작년도 |
2023 |
작품재료 |
철, 채색 |
작품 설명 |
캥거루의 여행을 통해 현대인들이 잃어버린 동심과 자연을 바라보는 시간을 가지길 바라며 희망과 행복을 향해 나아가는 모습을 형상화했다. |
작가 |
박재석 |
 |
작 품 명 |
동행 |
작품사이즈 |
167 × 84 × 165 |
제작년도 |
2016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사람과의 관계 속 다양한 상황을 만화적 표현으로 담아내며, 기존의 무겁고 어려운 조각에서 벗어나 관객과 소통하는 작품이다. |
작가 |
김보라 |
 |
작 품 명 |
토끼의 꿈 |
작품사이즈 |
90 × 90 × 200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우레탄 도색 |
작품 설명 |
약한 존재로 보이는 토끼지만 대자연을 만들고자 하는 꿈을 가졌으며, 꿈이 모이면 원대해지고 반드시 무엇인가를 이루어낸다. |
작가 |
조용익 |
 |
작 품 명 |
금관을 쓴 사슴 |
작품사이즈 |
220 × 120 × 260 |
제작년도 |
2021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멸종은 환경에 적응하지 못한 존재의 도태를 의미, 강한 동물도 멸종하며 생존 경쟁은 인간 사회와도 맞닿아 있다. |
작가 |
장원모 |
 |
작 품 명 |
Geometry Deer F |
작품사이즈 |
150 × 80 × 200 80 × 50 × 105 |
제작년도 |
2023 |
작품재료 |
stainless steel urethane paint |
작품 설명 |
관습적 이미지를 점, 선, 면 공간으로 재구성해 낯설지만 익숙한 형태를 이끌어내며 관객의 인식과 발견을 유희로 연결하는 작품. |
작가 |
이일 |
 |
작 품 명 |
봄바람 |
작품사이즈 |
230 × 60 × 280 |
제작년도 |
2023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봄바람에 날아오르는 나비를 순수한 색감으로 조형화해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명력 새 계절의 설렘을 담아낸 작품이다. |
작가 |
이용태 |
 |
작 품 명 |
Ostrich |
작품사이즈 |
120 × 90 × 200 |
제작년도 |
2016 |
작품재료 |
Stainless Steel, 우레탄 페인트 |
작품 설명 |
대인 관계는 성격 성장 배경 사회적 위치에 따라 특징이 드러나며, 이를 바탕으로 독자적 조형언어로 의사소통의 배경을 표현했다. |
작가 |
김정도 |
 |
작 품 명 |
옮겨지는 치즈 |
작품사이즈 |
136 × 146 × 220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페인팅 |
작품 설명 |
일정 기간 머물다 옮겨지는 치즈 형태의 작품을 통해 변화에 대한 두려움보다 현명한 대응을 바라며 치즈는 또다시 옮겨진다. |
작가 |
이용태 |
 |
작 품 명 |
Cactus(가시) |
작품사이즈 |
120 × 120 × 260 |
제작년도 |
2021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우레탄 |
작품 설명 |
대인 관계는 성격 성장 배경 사회적 위치에 따라 특징이 드러나고, 이를 바탕으로 조형언어를 구축해 의사소통의 배경을 표현했다. |
작가 |
신달호 |
 |
작 품 명 |
Restoration Image 18-30 |
작품사이즈 |
120 × 80 × 300 |
제작년도 |
2018 |
작품재료 |
stainless steel |
작품 설명 |
건물 일부를 재현한 구조로 계단과 문이 과거와 미래를 잇는 통로가 되며, 검정 테두리는 벽의 경계를 강조하고 독립적 존재로 보이게 한다. |
작가 |
박민섭 |
 |
작 품 명 |
아버지 |
작품사이즈 |
100 × 100 × 250 |
제작년도 |
2024 |
작품재료 |
브론즈 화강석 |
작품 설명 |
‘소’는 현대인의 페르소나로 생존 경쟁 속 아버지이자 욕망의 표상, 풍자와 유머를 통해 현대인의 치열한 삶을 담아낸다. |
작가 |
전강옥 |
 |
작 품 명 |
날으는 자전거 180501 |
작품사이즈 |
130 × 60 × 180 |
제작년도 |
2018 |
작품재료 |
철,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하늘로 떠오르는 풍선을 통해 인간적 한계를 초월하는 수직적 꿈과 희망을 표현한다. |
작가 |
장수빈 |
 |
작 품 명 |
꿈꾸는 구름 |
작품사이즈 |
100 × 100 × 250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합성수지, 스테인레스 스틸, 화강석 |
작품 설명 |
작품 속 구름은 막연한 꿈을 의미하며 꿈이 기대와 다를지라도 한 번쯤 닿아 보고 싶은 나의 이상을 표현한다. |
작가 |
최혜광 |
 |
작 품 명 |
젤리토끼 |
작품사이즈 |
100 × 100 × 240 |
제작년도 |
2016 |
작품재료 |
FRP |
작품 설명 |
비밀을 지켜줄 것 같은 진지한 입 사려 깊은 표정의 젤리토끼는 언제나 여러분의 친구가 되어 어려운 이야기를 조용히 들어준다. |
작가 |
류종윤 |
 |
작 품 명 |
Love |
작품사이즈 |
80 × 60 × 250 |
제작년도 |
2020 |
작품재료 |
브론즈,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뚜렷한 기억과 희미한 기억이 공존, 작업을 통해 끊임없이 자아를 탐구하며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 존재를 찾아간다. |
작가 |
신달호 |
 |
작 품 명 |
Restoration - Image 23-02 |
작품사이즈 |
150 × 90 × 250 |
제작년도 |
2023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
작품 설명 |
건물 일부를 재현한 구조로 계단과 문이 과거와 미래를 잇는 통로가 되며, 검정 테두리는 벽의 경계를 강조하고 독립적 존재로 보이게 한다. |
작가 |
조유나 |
 |
작 품 명 |
Man |
작품사이즈 |
153 × 120 × 250 |
제작년도 |
2023 |
작품재료 |
레진, 우렐탄 도장,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희로애락과 경험을 담은 얼굴 이미지에 곡선과 색을 가미해 다양한 시각언어로 표현하며 대중과 공감하고 소통하고자 한다. |
작가 |
이일 |
 |
작 품 명 |
Mother |
작품사이즈 |
60 × 160 × 250 |
제작년도 |
2019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렉산 |
작품 설명 |
유토피아적 공간 ‘무지개 숲’ 속에서 상상의 여성을 형상화, 어머니처럼 생명을 보듬는 따뜻한 감성을 담아낸 작품. |
작가 |
장용선 |
 |
작 품 명 |
Particle 431022V |
작품사이즈 |
200 × 100 × 200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세포의 미시적 형태와 행성의 거대한 형태를 시각화해 생명의 속성과 빛이 태동하는 순간을 탐구하며 본질을 묻는 작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