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 가 |
이일 |
 |
작 품 명 |
꽃끼리 |
작품 사이즈 |
160 × 210 × 180 |
제작년도 |
2018 |
작품 재료 |
스테인레스, 색유리, 폴리카보네이트 |
작품 설명 |
‘꽃끼리’는 숲속 나무들의 패턴과 청정한 자연환경을 의미하는 밝은 색채의 나비, 꽃, 나뭇잎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작가가 상상한 ‘무지개 숲’이라는 유토피아적 공간에 존재하는 ‘상상 속 동물’을 형상화 한 작품이다. |
작가 |
조정래 |
 |
작 품 명 |
Low Poly-horse |
작품사이즈 |
290 × 150 × 300 |
제작년도 |
2023 |
작품재료 |
스테인리스 스틸 |
작품 설명 |
유년 시절 3차원 컴퓨터 그래픽을 처음 접하였을 때 그때의 기억은 매우 흥미로웠으며 우리에게 친숙한 사람의 형태나 동물의 형태는 복잡하지만 단순한 형태를 띠고 있었고 그럼에도 그형태의 의도를 분명히 알 수 있었다. 멋지고 귀여운 형태의 동물 혹은 사람형태의 캐릭터를 보며 실제 했으면하는 어린시절의 마음에 그때의 기억을 떠올리며 작업에 임하였다. |
작가 |
최혜광 |
 |
작 품 명 |
구름비행 |
작품사이즈 |
240 × 130 × 300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살아있는 것 같고, 만져보고 싶고, 먹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늘 한다. 아니다. 사실 아무 생각이 없어진다. 그냥 행복해서 시간이 가는 줄 모른다는 것이 진실이다. 내가 운전하는 비행기에서 내게 설렘과 기쁨을 주는 구름이 만들어지면 좋겠다. 나뿐만 아니라 사람들에게도 행복을 전해주는 구름이 만들어졌으면. 그런 바람으로 <구름 비행>을 만들었고 또 만들 것이다. |
작가 |
전덕제 |
 |
작 품 명 |
멜로디온 부르는 소녀 |
작품사이즈 |
100 × 120 × 200 |
제작년도 |
2020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화강석 |
작품 설명 |
작품과 서로간의 사랑과 애정을 보여줄 수 있는 작품이 될 수 있는 멜로디언 부르는 소녀이다. |
작가 |
고성익 |
 |
작 품 명 |
추억여행 |
작품사이즈 |
85 × 47 × 90 |
제작년도 |
2017 |
작품재료 |
브론즈 |
작품 설명 |
모든 것이 부족했던 시절, 추위와 배고픔에도 늘 웃음을 잃지 않고 뛰어노는 생기발랄했던 아이들의 일상 중 하나인 벌 서는 모습을 해학적으로 조형화했다. |
작가 |
전강옥 |
 |
작 품 명 |
날으는 자전거 180501 |
작품사이즈 |
130 × 60 × 180 |
제작년도 |
2018 |
작품재료 |
철,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하늘 높이 날아오르는 풍선은 우리를 수직화 시키는 몽상이며 수많은 몽상 가운데서도 인간을 가장 해방 시키는 것이다. 날아오르는 풍선을 통해 나의 인간적 조건들을 초월하는 수직의 꿈을 담고자 하였다. |
작가 |
김지영 |
 |
작 품 명 |
비상 |
작품사이즈 |
50 × 50 × 165 |
제작년도 |
2023 |
작품재료 |
화강석 |
작품 설명 |
각각의 다른 석재들을 켜켜이 쌓아 제작한 직각 기둥은 나에게 닿아있는 모든 것들의 관계성을 의미한다. 그리고 기둥 위에서 머리를 들고 하늘을 바라보는 듯한 검정토끼의 모습은 비상을 꿈꾸는 또 다른 나의 모습이다. |
작가 |
이명훈 |
 |
작 품 명 |
행복한소 × 1440rpm |
작품사이즈 |
300 × 120 × 250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본 작품은 해학적 표현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맑은 날 휴식하는 소의 모습을 연출하였다. 작가만의 해석으로 디자인과 색감을 표현하여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바쁘게 살아가는 현시대와 미래의 희망을 바라며, 시각의 휴게공간으로 작품과 대중과의 소통이 되길 바란다. |
작가 |
전종무 |
 |
작 품 명 |
일가 |
작품사이즈 |
가변설치 |
제작년도 |
2017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브론즈 |
작품 설명 |
인간과 동물의 자식(새끼)에 대한 사랑은 조건 없는 내리사랑으로 숭고한 사랑과 희생정신을 공통점으로 갖고 있다. 부모님의 숭고하고 헌신적인 내리사랑의 의미를 반려동물인 개의 형상으로 의인화하여 사랑의 울타리 안에서 아름답고 건강하게 성장하는 자식의 모습과 가족의 유대감을 인류와 오랜 시간 동안 함께한 사랑스러운 강아지의 형상으로 내리사랑의 의미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
작가 |
박영수 |
 |
작 품 명 |
소셜2021 |
작품사이즈 |
100 × 80 × 250 |
제작년도 |
2021 |
작품재료 |
혼합재료 |
작품 설명 |
현대인의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을 어린아이의 형상을 통해 표현하였다. 작품은 어린아이가 사진을 찍는 모습과 그저 화면을 응시하는 모습으로 보일 수 있다. 높은 곳에 설치된 작품의 핸드폰 속 화면은 내용을 알 수가 없다. |
작가 |
박재석 |
 |
작 품 명 |
키스할까요? |
작품사이즈 |
250 × 120 × 260 |
제작년도 |
2021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우레탄 페인트 |
작품 설명 |
사랑스러운 연인들의 알콩달콩 함을 표현하였고, 주재료는 내구성이 강한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었다. 작품의 색을 만화적인 표현기법으로 칠하여 이해하기 쉽고 사랑스러운 느낌을 강조하였다. |
작가 |
박경범 |
 |
작 품 명 |
진화 |
작품사이즈 |
300 × 90 × 150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알루미늄 주물 |
작품 설명 |
아름다운 세상을 영위해 나가려고 하는 인간의 진보적 발자취 형상을 인간의 애정과 존재의 위상 그리고 인류가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는 세계상과 희망을 조형화 하였다. |
작가 |
전신덕 |
 |
작 품 명 |
서울의 달 |
작품사이즈 |
200 × 160 × 280 |
제작년도 |
2024 |
작품재료 |
철, 우레탄 도색 |
작품 설명 |
현대인의 삶 속에서 획일적인 굴레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평범한 일상을 표현하였다. 복잡하고 버거운 삶 속에서 새로운 미래를 향해 자유로운 모습을 표현하며 꿈과 희망을 갖고 떠나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
작가 |
최성열 |
 |
작 품 명 |
꼬맹이 |
작품사이즈 |
100 × 80 × 170 |
제작년도 |
2018 |
작품재료 |
화강석 |
작품 설명 |
꼬맹이들의 천진난만한 순수한 표정과 행동을 표현하였다. |
작가 |
오누리 |
 |
작 품 명 |
Dreaming |
작품사이즈 |
600 × 600 × 1500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FRP |
작품 설명 |
천을 덮고 감싸는 행위는 보기 싫은 것을 감추고 숨기는 용도도 있지만, 또 한편으로 어떤 대상을 보호하고 포근한 느낌을 주는 이중적인 행위로 볼 수 있다. 작품은 포옹하고 토닥이면서 서로의 마음을 위로하는 따뜻한 마음을 표현하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