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 가 |
조영철 |
 |
작 품 명 |
wire drawing – 늑대개 |
작품 사이즈 |
150 × 120 × 70 |
제작년도 |
2025 |
작품 재료 |
Stainless steel |
작품 설명 |
작가는 야생동물을 소재로 한 입체 작업을 통해 이동과 소통의 현대적 의미를 탐구하며, 본능적 이동 속에서 인류가 잃어버린 가치를 발견한다. |
작가 |
서승원 |
 |
작 품 명 |
LOVE |
작품사이즈 |
110 × 75 × 130 |
제작년도 |
2025 |
작품재료 |
F.R.P(강화유리플라스틱) , stainless steel |
작품 설명 |
사랑의 부재와 상실의 아픔을 ‘튜브’로 형상화하여 치유와 성숙, 삶과 관계에 대한 성찰을 담은 작품이다. |
작가 |
신달호 |
 |
작 품 명 |
Restoration - Image 15001 |
작품사이즈 |
160 × 90 × 190 |
제작년도 |
2015 |
작품재료 |
스틸, 우레탄페인트 |
작품 설명 |
건물 일부를 재현한 구조로 계단과 문이 과거와 미래를 잇는 통로가 되며, 검정 테두리는 벽의 경계를 강조하고 독립적 존재로 보이게 한다. |
작가 |
이용태 |
 |
작 품 명 |
Cactus(가시) |
작품사이즈 |
120 × 120 × 260 |
제작년도 |
2021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스틸, 우레탄 |
작품 설명 |
대인 관계는 성격 성장 배경 사회적 위치에 따라 특징이 드러나고, 이를 바탕으로 조형언어를 구축해 의사소통의 배경을 표현했다. |
작가 |
방인균 |
 |
작 품 명 |
Beads Maze #Giraffe |
작품사이즈 |
250 × 110 × 220 |
제작년도 |
2023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스틸 |
작품 설명 |
순수한 조형미를 통해 동심의 기억까지 떠올릴 수 있는 바람과 함께 마치 어린아이가 놀이하듯 시각적으로 큰 즐거움을 선사하기를 바란다. |
작가 |
최승애 |
 |
작 품 명 |
별2021 |
작품사이즈 |
150 × 130 × 280 |
제작년도 |
2021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유영의 시간들을 흘려 보내며 어느새 어린시절의 꿈들이 사라져간다. 순수했던 시절에 꿈꾸었던 별. 그 별을 잃지 말고 살아가길 소망하며 저마다의 행복을 응원하는 작품이다. |
작가 |
전신덕 |
 |
작 품 명 |
펜트하우스 |
작품사이즈 |
80 × 80 × 250 |
제작년도 |
2025 |
작품재료 |
철, 채색 |
작품 설명 |
현대인들이 살아가고 있는 문명의 모습을 도토리 형상으로 축적하여 인간의 끝없는 욕망을 표현하였다. |
작가 |
조정 |
 |
작 품 명 |
야(野)~후 |
작품사이즈 |
220 × 80 × 230 |
제작년도 |
2023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화강석 |
작품 설명 |
허공을 향해 키스를 하고 있는 꽃잎으로 형상화된 여성의 이미지를 통하여 세상의 모든 기쁨을 안아주며 즐거운 마음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
작가 |
전강옥 |
 |
작 품 명 |
목마와 풍선 |
작품사이즈 |
77 × 120 × 250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하늘로 떠오르는 풍선을 통해 인간적 한계를 초월하는 수직적 꿈과 희망을 표현한다. |
작가 |
백종인 |
 |
작 품 명 |
탑기린 |
작품사이즈 |
200 × 230 × 300 |
제작년도 |
2012 |
작품재료 |
알루미늄앵글, 스텐볼트, 철 |
작품 설명 |
일상의 공간을 박스로 표현하고, 박스 안에서 나오는 사물들을 선재 드로잉화하여 새로운 형태의 공간에 펼쳐지게 하였다. 뒤섞여 있던 일상의 사물들(작가의 작업 도구, 공구 등)이 밖으로 펼쳐져 자유롭게 배치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