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 가 |
김태수 |
 |
작 품 명 |
ECO FLOWING 1 |
작품 사이즈 |
320 × 85 × 260 |
제작년도 |
2015 |
작품 재료 |
페인팅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지구촌의 위기가 환경 파괴에 기인한다는 깊은 자각에서 비롯해 생명이 발아할 때의 순간적 형태를 작업의 기초로 삼아 작품이 지구촌 전체의 이슈와 맞닿아 있음을 표현함. |
작가 |
이강훈 |
 |
작 품 명 |
DEAR MY HERO |
작품사이즈 |
90 × 140 × 280 |
제작년도 |
2025 |
작품재료 |
알루미늄, 철, 우레탄도색 |
작품 설명 |
희망, 소망, 꿈, 사랑... 누구나 마음속에 품고있는 소중한 어떤것에 대한 위대한 탐험가인 현대인들에게. |
작가 |
서승원 |
 |
작 품 명 |
LOVE |
작품사이즈 |
110 × 75 × 130 |
제작년도 |
2025 |
작품재료 |
FRP (강화유리플라스틱) |
작품 설명 |
사랑의 부재와 상실의 아픔을 ‘튜브’로 형상화하여 치유와 성숙, 삶과 관계에 대한 성찰을 담은 작품이다. |
작가 |
조영철 |
 |
작 품 명 |
Wire drawing-늑대개 |
작품사이즈 |
150 × 120 × 70 |
제작년도 |
2025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작가는 야생동물을 소재로 한 입체 작업을 통해 이동과 소통의 현대적 의미를 탐구하며, 본능적 이동 속에서 인류가 잃어버린 가치를 발견한다. |
작가 |
이용태 |
 |
작 품 명 |
cactus 가시 |
작품사이즈 |
120 × 120 × 260 |
제작년도 |
2021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우레탄 |
작품 설명 |
대인 관계는 성격 성장 배경 사회적 위치에 따라 특징이 드러나고, 이를 바탕으로 조형언어를 구축해 의사소통의 배경을 표현했다. |
작가 |
신달호 |
 |
작 품 명 |
RESTORATION |
작품사이즈 |
160 × 90 × 190 |
제작년도 |
2015 |
작품재료 |
스틸, 우레탄페인트 |
작품 설명 |
건물 일부를 재현한 구조로 계단과 문이 과거와 미래를 잇는 통로가 되며, 검정 테두리는 벽의 경계를 강조하고 독립적 존재로 보이게 한다. |
작가 |
남지형 |
 |
작 품 명 |
축적된 꽃잎 |
작품사이즈 |
120 × 100 × 210 |
제작년도 |
2020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떨어지는 꽃잎의 순간을 포착해 유닛을 재해석, 축적되는 꽃잎을 인간의 삶과 동일시하며 우리의 지나간 삶이 행복하길 바란다. |
작가 |
방인균 |
 |
작 품 명 |
Beads Masze Giraffe |
작품사이즈 |
250 × 110 × 220 |
제작년도 |
2023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Beads Maze’ 기린 작품은 어린 시절 장난감에서 발견한 비규칙적 선과 다양한 형태의 조합을 통해 단순하면서도 화려한 조형미를 드러내며, 동심의 기억과 시각적 즐거움을 전하고자 한다. |
작가 |
조권익 |
 |
작 품 명 |
소리치다 |
작품사이즈 |
133 × 60 × 230 |
제작년도 |
2023 |
작품재료 |
스틸 |
작품 설명 |
두 팔을 크게 벌리고 위로 뻗은 모습은 강렬한 감정의 발산, 소리치거나 환호하는 순간의 에너지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합니다. |
작가 |
송현구 |
 |
작 품 명 |
룰루랄라 |
작품사이즈 |
130 × 80 × 150 |
제작년도 |
2019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다른 이의 속도를 따라가는 것이 아닌 나만의 속도로 나아간다는 의미를 자전거를 통해 표현함. |
작가 |
장원모 |
 |
작 품 명 |
Geometry Heart Y |
작품사이즈 |
150 × 70 × 150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우레탄도장 |
작품 설명 |
하트의 이미지를 표현하면서 사랑 가득한 문화 공유 공간을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
작가 |
김병규 |
 |
작 품 명 |
Play wind her |
작품사이즈 |
245 × 68 × 170 |
제작년도 |
2016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화강석, 사암 |
작품 설명 |
도심 속 사람의 이미지를 형상화해 빠르게 흘러가는 일상 속에서 스쳐 지나가는 관계와 삶을 성찰한다. 잠시 걸음을 늦추고, 주위를 둘러보며 자신을 돌아보는 여유의 가치를 전하고자 한다. |
작가 |
오세문 |
 |
작 품 명 |
From the Form |
작품사이즈 |
50 × 40 × 160 |
제작년도 |
2025 |
작품재료 |
청동, 화강석 |
작품 설명 |
인체의 모습을 직선만으로 단순하게 표현함으로써 소통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
작가 |
최승애 |
 |
작 품 명 |
별 2021 |
작품사이즈 |
150 × 130 × 280 |
제작년도 |
2021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사라져가는 어린 시절의 꿈을 되새기며, 순수했던 별을 잃지 않고 살아가길 바라는 마음으로 각자의 행복을 응원한다. |
작가 |
이송준 |
 |
작 품 명 |
INFINITY R180 |
작품사이즈 |
110 × 110 × 270 |
제작년도 |
2025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조명 |
작품 설명 |
그릇을 작품의 소재로 삼아 특별할 것이 없는 평범한 일상 자체가 가치 있는 삶이라는 것을 작품을 통해 이야기 하고자 함. |
작가 |
전신덕 |
 |
작 품 명 |
펜트하우스 |
작품사이즈 |
80 × 80 × 250 |
제작년도 |
2025 |
작품재료 |
철, 채색 |
작품 설명 |
현대인들이 살아가고 있는 문명의 모습을 도토리 형상으로 축적하여 인간의 끝없는 욕망을 표현하였다. |
작가 |
오상욱 |
 |
작 품 명 |
친구들 |
작품사이즈 |
150 × 150 × 300 |
제작년도 |
2025 |
작품재료 |
스틸, 우레탄 페인트 |
작품 설명 |
멀리 있어도 마음은 가까이, 시간이 지나도 변함없는 믿음. 서로 빛이 되어 주는 친구들이 있기에 세상은 아름답다. |
작가 |
조정 |
 |
작 품 명 |
야-후 |
작품사이즈 |
220 × 80 × 230 |
제작년도 |
2023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화강석 |
작품 설명 |
허공을 향해 키스하는 꽃잎 형상의 여성 이미지를 통해 세상의 기쁨과 즐거움을 전달하고자 제작했다. |
작가 |
조무현 |
 |
작 품 명 |
엄마 바위 이야기 |
작품사이즈 |
110 × 210 × 240 |
제작년도 |
2014 |
작품재료 |
자연석,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가족과 조국을 위해 희생한 어머님들의 상처를 위로하고, 그들의 꿈과 희망을 대신 꽃 피워 기억하며,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그 희생에 보답하고자 한다. |
작가 |
김리현 |
 |
작 품 명 |
The cycle of desire |
작품사이즈 |
160 × 90 × 230 |
제작년도 |
2025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다이아몬드 반지를 통해 인간 욕망의 순환과 소유, 결핍, 충족, 갈망의 긴장을 시각화한 작품이다. |
작가 |
이진구 |
 |
작 품 명 |
Eden 010 |
작품사이즈 |
160 × 80 × 160 |
제작년도 |
2014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우레탄 도색 |
작품 설명 |
〈Eden ’010’〉은 사슴 형상을 단순화해 강철과 페인트로 구현하고, 그라데이션으로 생명의 순환과 자연-인간 관계를 표현한 작품이다. |
작가 |
박민섭 |
 |
작 품 명 |
버티기 |
작품사이즈 |
340 × 150 × 120 |
제작년도 |
2015 |
작품재료 |
FRP (강화유리플라스틱) |
작품 설명 |
작품 ‘버티기’는 힘겨운 현실 속에서도 당당하게 버티며 살아가는 아버지의 모습을 황소 형상으로 표현했다. |
작가 |
유수 |
 |
작 품 명 |
The road to Utopia |
작품사이즈 |
160 × 160 × 270 |
제작년도 |
2020 |
작품재료 |
우레탄도장 |
작품 설명 |
어린 시절 풍선 기억을 바탕으로 풍선과 고래를 통해 꿈과 희망, 이상을 향한 의지를 형상화한 작품이다. |
작가 |
이일 |
 |
작 품 명 |
Mother |
작품사이즈 |
180 × 120 × 430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우레탄도색, 색유리 |
작품 설명 |
작품 ‘Mother’는 밝은 색채의 나비와 나뭇잎으로 상상 속 유토피아 ‘무지개 숲’의 여성상을 형상화하며, 숲 속 생명을 보듬는 따뜻한 어머니의 마음을 담았다. |
작가 |
전강옥 |
 |
작 품 명 |
목마와 풍선 |
작품사이즈 |
77 × 120 × 250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날아오르는 풍선을 통해 인간적 조건들을 초월하는 수직의 꿈을 담고자 함. |
작가 |
이창희 |
 |
작 품 명 |
걸어가다 |
작품사이즈 |
200 × 350 × 250 |
제작년도 |
2017 |
작품재료 |
스틸 |
작품 설명 |
현대인들 속에서 고독을 표현함과 동시에 그러한 고독에 동반하는 서로가 다르지만 함께하는 우리들의 묵직한 발걸음을 이야기하고 싶어 함. |
작가 |
김영호 |
 |
작 품 명 |
물고기와 선인장 |
작품사이즈 |
75 × 52 × 250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혼합재료 |
작품 설명 |
물고기와 선인장을 통해 산업화와 물질문명 속 현대인의 모습을 반영하면서, 비행하는 물고기에서 남아 있는 인간의 희망과 미래를 표현한 작품이다. |
작가 |
백종인 |
 |
작 품 명 |
탑기린 |
작품사이즈 |
200 × 230 × 300 |
제작년도 |
2012 |
작품재료 |
알루미늄앵글, 스텐볼트, 철 |
작품 설명 |
일상의 사물을 박스와 선재 드로잉으로 새로운 공간에 펼쳐 자유롭게 배치하며, 숨은 재미있는 보물을 발견하도록 한 작품이다. |
|